반응형 인적공제2 연말정산 알아보기(인적공제편 2) - 연금수령 부모님의 인적공제 가능여부 인적공제 대상자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 소득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연금 등을 수령하시는 부모님에 대해 이런 사항이 적용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대상연금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주택연금 기타 사적연금(연금저축, 연금 보험) 등 인적공제 대상 소득요건 재확인 인적공제 대상자의 소득중 기타 소득 100만 원 또는 근로소득 500만 원 이상이면 인적공제 불가 인적공제 대상자의 소득 기타소득 100만원 또는 근로소득 500만원 조건 이하 이상 대상 공제가능 공제불가능 공적연금 소득요건 연금소득은 연금수급액 100만 원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2001년 12월 31일 이전 납부한 연금보험료는 비과세이며, 2002년 1월 1일 이후 납부한 연금보험료만 과세대상입니다. 이때 과세대상 연금수령액이 100만원(연금소득공제 5.. 2023. 2. 16. 연말정산 알아보기(인적공제편 1) - 기본인적공제 부녀자공제 추가인적공제 연말정산에서 인적공제는 다양한 조건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석에 따라 많은 혼동이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실제 같이 거주하는 자를 의미하지만 근로자와 떨어져 사는 부모님일지라도 근로자가 생계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인적공제가 가능합니다. 인적공제를 통해 부양가족 1명당 150만 원의 공제와, 경우에 따라 추가공제도 받을 수 있는 항목입니다. 그래서 인적공제에 대한 몇 가지 질문에 답변을 드리면서, 전체적으로 인적공제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다만, 오늘 설명드리는 각종 자료는 참고로 활용해 주시고, 반드시 실무자에게 확인받으시고 진행하시길 당부드립니다. 인적공제의 범위와 조건 인적공제는 근로자 본인 및 배우자,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에 대해 당해 근로자의 생계비용 등을 고려해 일정액을 공제하는 제도입니.. 2023. 2. 14. 이전 1 다음 반응형